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8

[js] 자바스크립트 DeepDive 27장 요약 (1) * 본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DeepDive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27장. 배열(1) (P.492~528) 27.1) 배열이란? (p.492~494) - 배열이란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객체 타입의 자료구조 - 배열은 배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프로퍼티를 가진다. -> for문을 통해 접근 가능 - Array 생성자 함수, Array.of, Array.from메소드로 생성할 수 있다. - 요소: 배열이 가지고 있는 값.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0이상의 정수인 인덱스를 가진다. (0부터 시작) * 일반 객체와 배열의 구분. -> 가장 명확한 차이는 값의 순서와 length 프로퍼티. 구분 객체 배열 구조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 인덱스와 요소 값의 참조 프로퍼티 키 인덱스 값.. 2023. 5. 20.
[js] 자바스크립트 DeepDive 26장 요약 * 본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DeepDive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26장. ES6함수의 추가 기능 (P.469~491) 26.1) 함수의 구분... ES6이전의 함수의 활용 (P.469~471) - ES6이전의 모든 함수는 일반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,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다. 즉, callable이면서, constructor이다. - ES6이전에는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를 생성자 함수로 호출하는 경우가 문법상 허용되었다. 이는 성능면에서 문제를 초래한다. - ES6이전의 모든 함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명확한 구분이 없으므로, 호출방식에 제약이 없고, 생성자 함수로 호출하지 않아도 프로토타입 객체를 생성한다. 26.2) 메서드 (P.471~473) - ES6사양에서의 메서드.. 2023. 5. 18.
[js] 자바스크립트 DeepDive 19장 (11) ~ (14) 요약 * 본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DeepDive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19장. 프로토타입 (11) ~ (14) 11. 직접 상속 (p.299 ~ 302) ● 11.1) Object.create에 의한 상속 - object.create메소드는 명시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지정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한다. - object.create메소드도 다른 객체 생성 방식과 마찬가지로 추상 연산 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함 ● object Create의 메소드 - 첫 번째 매개변수: 생성할 객체의 프로토타입으로 지정할 객체를 전달 - 두 번째 매개변수: 생성할 객체의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디스크립터 객체로 이뤄진 객체를 전달 (생략가능) // 지정된 프로토타입 및 프로퍼티를 갖는 새로운 객체를 생.. 2023. 3. 24.
[js] 자바스크립트 DeepDive 19장 (6) ~ (10) 요약 * 본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DeepDive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19장. 프로토타입 (6) ~ (10) 6. 객체 생성 방식과 프로토타입의 결정 (p.280 ~ 284) - 객체 생성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있다. 1. 객체 리터럴을 통한 생성 2. object생성자 함수를 통한 생성 3. 생성자 함수를 통한 생성 4. object.create 메서드 5. 클래스(ES6) -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 모든 객체는 추상 연산 OrdinaryObjectCreate에 의해 생성된다는 공통점. - 프로토타입은 OrdinaryObjectCreate에 전달되는 인수에 의해 결정됨 - 이 인수는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객체 생성 방식에 의해 결정됨. ● 6.1)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.. 2023. 3. 23.
[js] 자바스크립트 DeepDive 19장(0) ~ (5) 요약 * 본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DeepDive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19장. 프로토타입 (0) ~ (5) 0. 개요 - 자바스크립트는 명령형, 함수형,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멀티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. -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으로, 원시 타입의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은 모두 객체이다. 그렇다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?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. 1.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(p260~261) ●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? - 여러 개의 독립적 단위, 즉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뜻함. -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동작을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 생각함. - 속성을 가진 실체를 인식하려는 철학적 사고를 프로그래.. 2023. 3. 21.
[Big Query] 정착률 계산하기 :: 가입일 이후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에 정착했는가? Today's Topic 정착률이란? 정착률을 계산하는 실습 생활 속 지속률과 정착률 - 게임의 출석이벤트 - Used Function CAST 등의 데이터 변환함수 DATE등의 날짜함수 SUM, MAX, AVG 등의 집계함수 SIGN함수 (플래그변환) JOIN개념 CASE구문 안녕하세요. 오늘은 정착률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속률과 비슷한 개념일 수 있지만, 약간 다른 개념입니다.정착률은 사용자가 얼마나 해당 서비스에 정착을 했는가?를 알아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.그렇다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정착률의 개요 이전 시간에는 지속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. 아래 내용과 이어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, 한 번 읽어오는 것을 권합니다. https://dtanda.. 2023. 2. 23.